지난 번에 정리한 사잇소리 현상을 아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번엔 사잇소리 현상을 쉽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에 대한 자세한 개념은 바로 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이번 포스팅은 사잇소리 현상의 순한맛 버전입니다!!
위의 그림에 있는 '순대, 국, 이, 몸, 깨, 잎'은 모두 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들입니다. 이런 단어들을 단어의 형성에서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어근'이라고 말합니다.
즉 위의 단어들은 모두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들인데, 이런 단어를 '합성어'라고 합니다.
우리가 오늘 공부하는 사이소리 현상은 '합성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단, 한자어로만 이루어진 합성어에서는 발생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전세방'은 '전세'와 '방'이 모두 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어근이지만 둘 다 한자어이기 때문에 사이소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있는 '햇님'은 명사 '해'와 접미사 '님'이 결합된 단어인데 명사와 접미사가 결합된 단어는 합성어가 아니라 파생어이기 때문에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요. 따라서 '해님'이 옳은 표현입니다.
※ 문법 용어들(어근, 접사, 접미사, 합성어, 파생어)이 헷갈린다면 형태론 정리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다시 초록색 네모의 단어들을 보겠습니다.
'순대'와 '국'이 만났는데 발음이 [순대꾹]으로 바뀌었습니다. 순대와 국이 만났는데 갑자기 꾹이 되었어요.
'ㄱ,ㄷ,ㅂ'와 같이 발음세기가 가장 약한 말을 예사소리라고 부르고, 'ㅋ,ㅌ,ㅍ'를 거센소리, 'ㄲ,ㄸ,ㅃ'를 된소리라고 합니다.
그럼 '국'이 '꾹'이 된 것은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된 것이지요? 이렇게 어근과 어근이 만나 합성어가 되었는데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뀐 것을 사이소리 현상이라고 합니다.
합성어에서 예사소리 'ㄱ,ㄷ,ㅂ'과 된소리 'ㄲ,ㄸ,ㅃ'가 될때 사이소리 현상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때 합성어는 '순대국'이 아니라 '순댓국'으로 변해요. 사이에 시옷이 들어갔어요.
어근과 어근 사이에 들어간 이 시옷을 '사이시옷'이라고 합니다.
사이시옷은 항상 들어가는 것이 아니예요. 앞말이 모음으로 끝났을 때 들어갈 수 있어요. 즉, 앞말에 받침이 없을 때 들어가는 것입니다. 만약에 자음으로 끝난다(=받침이 있다)면 사이시옷을 적지 않아요.
아래의 나머지 두 단어 '잇몸'과 '깻잎'을 보겠습니다.
두 단어 모두 사이시옷이 표기되어 있어요. 하지만 두 단어는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보다 발음이 더 중요해요.
두 단어 모두 합성어가 되면서 발음에 [ㄴ]이 생겼어요. 이렇게 발음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을 'ㄴ첨가'라고 합니다.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 말이 'ㄴ, ㅁ'으로 시작하면 발을할 때 [ㄴ]이 생겨요.
이 + 몸 → 잇몸 [인몸]
'왜 그럴까'를 생각하지 말고 '아 그러네'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실제로 발음해보는 것도 좋아요!!
그리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다는 말을 앞말에 받침이 없다고 생각하면 조금 이해하기 더 쉬워요.
그리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ㅇ'으로 끝나면 [ㄴㄴ]이 생겨요. 즉 'ㄴ'이 2개 생겨요.
깨 + 잎 → 깻잎 [깬닙]
이 때도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사이시옷이 생겨요.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ㄴ첨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모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아니 위에서 사이소리 현상은 합성어에서만 일어난다더니!! 하고 헷갈리는 포인트가 여기입니다.
'ㄴ첨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모두 일어나는 현상이고, 그 중에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ㄴ 첨가'는 사잇소리 현상에도 포함되는 것입니다. 위의 벤다이어그램을 참고해주세요. 즉 다시 한번 사잇소리 현상은 합성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합성어와 파생어의 'ㄴ첨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이 + 몸 → 잇몸 [인몸] : 합성어 / 사잇소리 현상 中 'ㄴ첨가' / 사이시옷 나타남
맨 + 입 → 맨입 [맨닙] : 파생어 / ㄴ첨가
'맨'은 접사이고, 단독으로 쓸 수 없어요. 접사 '맨'과 어근 '입'이 만나 형성된 단어 '맨입'은 파생어입니다. 발음은 [맨닙]으로 발음되고 있어요. 파생어에서 'ㄴ첨가'가 발생한 예입니다.
사잇소리 현상은 필수적인 현상이 아니고 수의적인 현상입니다. 즉, 위의 조건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나타나지 않은 단어들도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래기름, 참기름, 기와집'과 같은 단어들은 합성어지만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요.
국어를 교양으로 공부하신다면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어근 사이에 된소리가 발음되거나 새로운 발음이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충분하실거 같아요!!
국어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분들은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어문규정의 예문들을 위주로 공부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오답노트를 만들어 자주 보고 익숙해지는 것도 추천합니다!! 사이시옷은 국어 문법 중에 정말 헷갈리는 문법 중 하나예요. 위의 글은 제가 공부하면서 이해한대로 적은 내용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틀린 내용은 알려주세요!!
오늘도 열공하세요!!
'투_함께쓰는 이야기 > 국어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국어] 어근과 접사 - 주요 접미사, 접두사, 어근 정리 / 형태론 (14) | 2020.08.16 |
---|---|
28. 꿈과 관련된 사자성어/한자성어 – 동상이몽, 남가일몽, 노생지몽, 일장춘몽, 일취지몽, 한단지몽, 호접지몽, 치인설몽 (12) | 2020.08.07 |
27. [국어] 어휘 - 헷갈리는 단어 정리 (갈가리/갈갈이,개재/게재,걷잡다/겉잡다,뒤쳐지다/뒤처지다,벌이다/벌리다) (10) | 2020.08.05 |
26. 사이시옷 주의 단어 - 기와집, 기왓장, 전셋집, 전세방, 예외 한자 (7) | 2020.08.02 |
[국어] 24. 사잇소리 현상 정리/사이시옷/개념/예외 (4) | 2020.07.27 |
[국어] 23. 외래어 표기 마지막 총정리! (2) | 2020.07.15 |
[국어] 22.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 표기 기본원칙, 외래어 표기 용례(오답노트 정리!!!) (14) | 2020.07.15 |
[국어] 21. 국어 속담 정리 - 오답노트 정리 (2) | 2020.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