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사자성어 문제 푸는 방법 / 공부법 - 견마지로, 백운고비, 득롱망촉, 망운지정
사자성어 문제는 서로 연관성 있는 사자성어가 나오는 경우와 전혀 생뚱맞은 사자성어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로 관련 있는 사자성어가 나오는 경우 마음 심(心), 탄식할 탄(嘆,歎), 꿈 몽(夢)이 들어가 있는 사자성어는 자주 나오는 기출이기 때문에 묶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맥수지탄, 서리지탄, 망국지탄, 풍수지탄"이라는 4개의 사자성어가 있고 의미가 다른 하나를 찾는다면 답은 "풍수지탄"입니다. "맥수지탄, 망국지탄, 서리지탄"은 나라의 멸망을 탄식하는 것이고, "풍수지탄"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싶지만 이룰 수 없는 데에 대한 탄식을 의미합니다. 이런 사자성어는 자주 나오는 기출 사자성어가 이미 있기 때문에 조금만 공부하고 암기 한다면 쉽게 맞힐 수 있습니다. 이전에 올렸던 사자성어 ..
2020. 9. 2.
40. 사자성어 공부 - 단표누항, 수주대토, 각주구검, 자가당착
국어 공부 40번 째 포스팅 입니다~~!! 짝짝짝!!! :) 오늘은 사자성어 단표누항, 수주대토, 각주구검, 자가당착을 정리했습니다. 簞瓢陋巷 도시락과 표주박과 누추한 거리.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의미 단표누항 소쿠리 단, 바가지 표, 더러울 누, 거리 항 단표누항은 의 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구나, 안회(顔回)여. 밥 한 그릇과 물 한 바가지를 먹고 마시면서 누추한 시골에 사는 근심을, 남들은 견뎌내지 못하는 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子曰: “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飲, 人不堪其憂, 回也, 不改其樂, 賢哉, 回也.]'"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에서도 공자가 제일 인정하는 제자였습니다. 공자는 안회의 가난하..
2020. 9. 1.
36. 사자성어 공부하기 - 면종복배, 구밀복검, 연하고질, 천석고황
오늘의 사자성어는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로 2개씩 짝을 지어 정리했습니다. 먼저 겉으로 웃으며 뒤에서 다른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면종복배(面從腹背)와 구밀복검(面從腹背), 그리고 자연을 몹시 사랑한다는 의미의 연하고질(煙霞痼疾)과 천석고황(泉石膏肓)입니다. 표 아래에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를 몇개 더 적었으니 동의어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 면종복배 & 구밀복검 - 겉과 속이 다르다. 面從腹背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배반함. 면종복배 낯 면, 좇을 종, 배 복, 등/배반할 배 口蜜腹劍 입에는 꿀, 배 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 겉으로는 친절하나 속으로는 다른 맘을 품음. 구밀복검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면종복배(面從腹背)와 구밀복검(面從腹背)은 둘 다 겉으로는 ..
2020. 8. 23.
32. 하루에 4개씩 사자성어 - 곡학아세, 가렴주구, 동상이몽, 기호지세
안녕하세요. 오늘의 사자성어는 곡학아세(曲學阿世), 가렴주구(苛斂誅求), 동상이몽(同床異夢), 기호지세(騎虎之勢)입니다. 曲學阿世진리에 어긋난 학문으로 세상에 아첨함.곡학아세 굽을 곡, 배울 학, 언덕 아, 세상 세곡학아세의 '곡'은 '곡선'에 있는 '곡'이랑 같아요. '학'은 '학문'에 나오는 학문입니다. '곡학'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처럼 구부러진 학문을 말합니다. '곡학아세'는 이렇게 구부러진 학문으로 세상에 아첨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고리타분한 한자를 뒤섞어 중국 놈 밀가루 반죽하듯 짓이겨 놓은 글이란 대체로 혹세무민 아니면 곡학아세의 무리들이 지은 걸로 보아 무방할 것입니다.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苛斂誅求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가렴주구 가혹할 가, 거둘 렴(염), 벨 주..
2020. 8. 19.
31. 오늘의 사자성어 - 하충의빙, 순망치한, 하로동선, 하갈동구, 설중송백
30. 오늘의 한자성어 - 진퇴유곡, 이율배반, 조령모개, 염랑세태 드리어 국어공부 30번째 포스팅입니다~~~~ 와아~~!! 자축자축!!! ♬♪♩♬♩ 한자공부는 꾸준히 하늘거라 했던 인강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한자성어를 꾸준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사자성어를 unomasuno.tistory.com ▲▲ 어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의 사자성어' 두 번째 날입니다. 오늘은 사자성어 '하충의빙, 순망치한, 하로동선, 설중송백'을 정리하겠습니다. 夏蟲疑氷 여름벌레는 얼음을 믿지 않는다. 견식이 좁음. 하충의빙 여름 하, 벌레 충, 의심할 의, 얼음 빙 하충빙의는 비교적 간단한 한자로 되어있어서 뜻을 유추하기가 쉽습니다. 하충빙의는 여름벌레가 얼음을 의심한다, 즉 믿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견식이 좁다는 의미..
2020. 8. 18.
28. 꿈과 관련된 사자성어/한자성어 – 동상이몽, 남가일몽, 노생지몽, 일장춘몽, 일취지몽, 한단지몽, 호접지몽, 치인설몽
꿈 속에서는 어디든 자유롭게 갈 수 있고, 누구든 될 수 있고, 무엇이든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꿈에서 깨어나면 끝이다. 생생하고 좋은 꿈을 꿀수록 일어나면 지금이 꿈인지 생시인지 헷갈리고, 아쉽고, 허무하기도 하다. 이런 꿈의 특징이 옛 사자성어에 담겨 꿈과 관련된 한자성어는 대부분 "덧없음, 헛됨, 인생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꿈과 관련된 한자성어는 보통 맨끝에 꿈 몽(夢)자가 들어간다. 오늘은 꿈과 관련된 사자성어 중에서 먼저 덧없음, 헛된, 인생무상의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를 정리하고, 그 밖의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덧없음, 헛됨, 인생무상 南柯一夢(남가일몽) :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 인생무상.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
2020.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