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국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본다.
국어 맞춤법 - '데'와 '대'를 구분

의존명사 ‘데’ : 곳, 장소, 일, 것, 경우의 의미 → 앞말과 띄어씀, 조사와 결합
ex)
의지할 데가 없는 사람, 지금 가는 데가 어디인데?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
사람을 돕는 데에 애 어른이 어디 있습니까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이 그릇은 손님을 대접하는 데에 쓴다.
첫 번째는 의존명사 '데'로 쓰이는 경우이다. 이 때 데는 곳, 장소, 일, 것, 경우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써야 하고,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어미 ‘데’, ‘ㄴ데’, ‘대’, ‘ㄴ대’
어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인용의 종결어미 '데'와 '대'로 쓰이는 경우
종결어미 'ㄴ데'와 'ㄴ대'로 쓰이는 경우
연결어미 '데'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인용의 종결어미 ‘데’, ‘대’
① ‘데’ :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 = 더라
ex) 그 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잘하더라)
제가 직접 봤는데 너무 크데요.
② ‘대’ :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
ex) 철수가 말하는데 코끼리가 아주 크대요
내일 야유회는 간대요?
영수가 그랬대~
인용의 종결어미로 사용되는 '데'는 화자의 직접적인 경험 사실을 인용할 때 쓰인다. 그리고 '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된다. 문맥을 보고 판단해야한다.
종결어미 ‘ㄴ데”, ‘ㄴ대’
① ㄴ데 : 일정한 대답을 요구하거나 어떤 일에 감탄할 때. 서술격조사 ‘이다’ 또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는다.
ex) 그 옷은 얼만데
② ㄴ대 :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 동사의 어간 다음
ex) 왜 저러신대(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임)
앞에 ㄴ이 붙어 'ㄴ데'나 'ㄴ대'로 쓰는 종결어미이다. 전자는 일정한 대답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지만 후자는 의문은 있지만 대답을 요구하기보다는 못마땅한 상황을 말할 때 사용한다.
연결어미 ‘-데’
: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ex)
여기가 우리 고향인데 살기 좋은 곳이야.
날씨가 추운데 외투입고 나가라.
제가 알아보았는데 사실은 그와 다릅니다.
연결어미 '데'는 두 문장을 연결할 때 쓰는 어미이기 때문에 문장 중간에 나온다.
오늘도 열심히 정리했지만 '데'와 '대'는 공부해도 많이 헷갈리는 부분인 거 같다.
아고 오늘은 너무 어려워서 머리가 아프다 ㅠㅠ
공부하면서 정리한 글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살짝 얘기해주세요~
오늘도 열공하세요!!
'투_함께쓰는 이야기 > 국어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23. 외래어 표기 마지막 총정리! (2) | 2020.07.15 |
---|---|
[국어] 22.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 표기 기본원칙, 외래어 표기 용례(오답노트 정리!!!) (14) | 2020.07.15 |
[국어] 21. 국어 속담 정리 - 오답노트 정리 (2) | 2020.05.14 |
[국어] 20. 국어 관용표현 정리 (2) | 2020.05.14 |
[국어]18. '-요'와 '-오' 구분하기 / 아니요, 아니오 (6) | 2019.08.30 |
[국어]17. 국어문법 큰 틀 잡기② - 형태론 (2) | 2019.08.29 |
[국어]16. 국어문법 큰 틀 잡기① - 음운론이란? /+국어문법종류 (0) | 2019.07.26 |
[국어]15. 단위를 나타내는 말(단위명사) 종류와 띄어쓰기 (9) | 2019.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