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 자
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11119516Y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3년물 연 0.989%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3년물 연 0.989%, 경제
www.hankyung.com
- 11일에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전 거래일보다 1.3bp(1bp = 0.01%포인트) 올라 연 0.989%에 장을 마쳤다.
- 10년물 금리는 연 1.662%로 3.8bp 상승했다.
- 5년물 금리는 3.4bp 상승하여 연 1.340%에 마감했다.
- 1년물 금리는 0.6bp 상승하여 연 0.710%에 마감했다.
잘은 모르겠지만 채권의 이자가 올랐다는 건가?
10월 전에는 국고채 금리가 한국은행의 고고채 단순매입, 외국인 국채선물 순매수 전환 등으로 하락했었는데, 10월 이후로는 미 국채금리가 오른데 주로 영향받아서 상승을 했다고 한다. (출처: 시장금리,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이와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싶다. 하나도 모르겠으니 그냥 용어만 아래에 정리한다.
경제 용어 정리
- 채권: 정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비교적 장기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정해진 이자와 원금의 지급을 약속하면서 발행하는 증권을 말한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채권시장: 채권이 거래되는 시장.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발행시장은 제 1차 시장 (primary market) 으로 채권이 최초로 발행되는 시장이며, 여기서는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안정증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지방채, 상업상의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금융채, 한국 전력공사 등 공기업에서 발행하는 특수채 등 다양한 채권이 있다. 유통시장은 제 2차 시장 (secondary market) 이며 이미 발행된 채권들이 매매되는 시장이다. 투자자들은 채권을 발행시장에서 인수하거나 유통시장에서 매입을 할 수 있고, 이자소득으로도 이득을 얻을 수 있고, 가격변동에 따른 자본이득 (capital gain)까지 기대할 수 있다. 거래는 대부분 증권회사에서 할 수 있다.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국고채 1년, 3년, 5년, 10년, 회사채 aa-(3년): 무담보 채권으로 장외에서 거래되는 시장 금리 (출처: 시장금리,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투_함께쓰는 이야기 > 경제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 스크랩_11월 17일_매일 경제] 다주택 전쟁 벌이고도…작년 다주택자 228만명 `역대 최대` (4) | 2020.11.17 |
---|---|
[기사 스크랩_11월 13일_매일경제] 1억 넘는 신용대출 끼고 규제지역 집 사면 대출 회수 (8) | 2020.11.13 |
[경제기사 스크랩 2020.11.12] 한국경제 - 아시아나, 대한항공에 매각될까…인수시 '초대형' 항공사 탄생 (8) | 2020.11.13 |
[경제기사 스크랩 2020. 11. 12.] 연합뉴스 - 10월 수출물가 2.6%↓…약 2년 만에 최대 하락 (4) | 2020.11.12 |
[돈의 속성] 4 - ② 돈의 속성 마지막 스터디 / 저금하자!! (11) | 2020.10.18 |
[돈의 속성] 4 - ① 책 마무리, 마지막 느낀 점 (8) | 2020.10.18 |
[돈의 속성] 3 - ② 유튜브에서 경제 배우기 (15) | 2020.10.09 |
[돈의 속성] 3 - ① 경제 용어를 공부하자 / PER, EPS, PBR,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26) | 2020.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