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삼국시대 5세기~7세기까지 왕 정리
오늘은 저번에 정리한 4세기까지의 삼국시대 정리했던 부분에 이어서
5세기부터 7세기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왕을 정리했다.
4세기까지 정리한 포스팅에는 고구려와 백제왕만 정리되어 있는데
그 시기에 신라는 같은 성씨가 왕위를 세습하지 않고
박-석-김 세 성씨가 왕을 돌아가면서 세습하는 시기이다.
그러다 4세기 말부터 중앙집권국가의 틀을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내물마립간부터 김씨가 독점적으로 왕위를 세습하고
눌지마립간부터는 왕위이 부자상속이 이루어진다.
지증왕때부터 마립간이라는 칭호 대신 '왕'을 사용한다.
이번에는 세 국가를 정리해야 해서 표를 만들어 최대한 시기를 맞추어 보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잘 안맞는 부분도 있지만 그래도 거의 대부분은 연도에 따라 세 국가의 왕들이 얼추 맞는다.
왕들 옆에 즉위 기간을 적어두었으니까 공부할 때 참고하세요!!
삼국시대 문제는 한 왕을 단독으로 묻는 경우도 있지만
순서를 맞춰야 하는 문제도 나오고 시기를 묻는 문제도 나온다.
문화사나 사회사를 함께 묻기도 한다.
그래서 시기구분도 잘 해야하고 조금은 디테일하게 알아야 문제풀기가 쉬운 것 같다.
삼국시대는 수학에 집합같이 제일 익숙한 범위라 그런지 방심하다 틀릴 때가 많다.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 두고 자주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나는 여러 한국사 문제들과 인터넷을 검색하면서 정리했는데
각자의 방법대로 정리하는 것도 좋은 것 같다.
오늘도 한국사 정리내용을 pdf파일로 함께 올려요~
다들 공부에 도움에 되었으면 좋겠고,
틀린부분이나 오타가 있으면 댓글로 사알짝 얘기해주세요~!! :)
수정해서 다시 올릴게요~
PDF파일 여기있어요 ▼▼▼
그리고 파일을 바로 받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한 내용을 아래에 적어보았어요.
바로 보기 편하게 정리했는데 핸드폰보다는 노트북이나 컴퓨터로 보는게 더 편할 것 같아요.
표가 너무 커서 ㅠㅠㅠㅠㅠㅠ
고구려 |
백제 |
신라 |
|
|
내물마립간 (356 - 402) - 김씨왕위세습(중앙집권), 진한 정복 - 마립간 칭호 사용 - 고구려 도움으로 왜 격퇴 |
광개토대왕 (391 - 413) - 영락 - 백제 공격(아신왕 생포) - 왜구격퇴(내물마립간), 금관가야공격 - 동예 정벌, 후연 공격, 동부여 정복 거란(비려), 숙신(여진) |
||
눌지마립간 (417 - 458) - 왕위부자상속 - 불교 전래(고구려 승려 묵호자) - 나제동맹(433, 비유왕) |
||
비유왕 (427 - 455) - 나제동맹 |
||
장수왕 (413 - 491) - 평양천도(427, 국내성→평양성) - 백제공격 - 남한강상류진출(남양만-죽령 세력확장) - 충주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릉비 - 흥안령 일대 초원지대 장악 (북) - 거란족 일파인 지두우 분할점령 - 경당설립(천도 이후) : 한학+무술 |
||
개로왕 (455 - 475) - 북위에 군사요청 - 장수왕 공격 : 한성함락, 전사(475) |
||
소지마립간 (479 - 500) - 나제동맹(493, 결혼동맹, 동성왕) : 동성왕의 요청, 이벌찬 비지의 딸을 시집보냄 - 우역(역참) 설치 - 수도에 시장 설치 |
||
문주왕 (475 - 477) - 웅진천도(475) |
||
동성왕 (479 - 501) - 나제동맹(493) : 결혼동맹, 신라 소지마립간 - 탐라복속 |
||
지증왕 (500 - 514) - 영일 냉수리비(503) - 갈문왕 - 주, 군설치 / 군주 파견 - 우산국 복속, 우경 장려, 순장 금지, 수리시설 정비 → 농업생산력↑ - 시장을 동시로 개칭, 동시전 설치 - 한화정책 (사로국→신라, 마립간→왕) - 선박 이용의 제도화 |
||
문자왕 (491 - 519) - 부여복속, 최대 영토 |
||
무령왕 (501 - 523) - 22담로 : 왕족 파견 (왕권↑, 중앙집권, 지방통제) - 남조와 외교(=양나라) ① 남조에서 양직공도 제작 양나라에서 ‘영동대장군’으로 칭함 ② 무령왕릉 : 벽돌무덤 (남조 영향) - 일본 : 단양이, 고안무 등 오경박사 파견(유학 전파) |
||
법흥왕 (514 - 540) - 건원 - 율령반포, 골품제 정비 - 병부설치, 상대등 설치 - 관등제(17관등),공복제정(자,비,청,황) - 불교 공인(이차돈), 불교왕명시작 - 대가야:결혼정책 / 금관가야 정복 - 울진봉평비(524) :노인법, 장형, 율령반포, 법흥왕→매금왕 |
||
|
||
성왕 (523 - 554) - 사비천도(538, 부여) - 국호 ‘남부여’ - 6좌평→22부, 5부(수도) 5방(지방) - 외교 ① 남조와 활발히 교류 ② 일본 : 노리사치계 - 불경, 불상 - 한강 일시적 회복, 관산성전투 전사 |
||
진흥왕 (540 - 576) -개국, 대창, 홍제 - 한강상류 : 백제와 연합(단양적성비) - 한강하류 : 백제 기습장악(북한산비) - 성왕과 관산성 전투 승리(성왕전사) - 당항성(중국교역), 대가야정복(고령) - 북쪽으로 함경도지역까지 진출 - 화랑도(국가제도화), 품주 설치 - 불교 교단정비(국통-주통-군통), - <국사>편찬(거칠부) |
||
위덕왕 (554 - 598) = 부여창 - 창왕명석조사리감 |
||
영양왕 (590 - 618) - 온달장군 아차산전투 전사(590):한강회복실패 - 수의 침략 : 돌궐과 연합, 수의 요서지방 선제공격(598) 2차(양제) : 을지문덕 살수대첩(청천강, 612) - 이문진 <신집> 편찬 |
||
진평왕 (579 - 632) - 원광법사 :걸사표(수 군대요청), 세속5계 |
||
무왕 (600 - 641) - 익산 천도 시도 - 미륵사(익산),미륵사지석탑(현존최고) |
||
영류왕 (618 - 642) - 천리장성 축조(631, 당 갈등) - 연개소문 : 대막리지, 귀족억압 위해 도교유입 - 노자<도덕경>유입, 승려 보덕 백제 망명 |
선덕여왕 (632 - 647) - 백제의 공격으로 대야성 함락됨(642) - 고구려 연합시도(김추춘파견)-실패 - 비담의 난, 분황사, 영묘사, 첨성대 - 황룡사 9층 목탑 (자장의 건의) |
|
의자왕 (641 - 660) - 대야성함락(642) :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획득 - 사택지적비 건립(도교적 색채) |
||
보장왕 (642 - 688) - 연개소문→영류왕 시해하고 보장왕 즉위 - 당 태종 침략→ 안시성전투 승리(645) - 천리장성 완성 - 멸망 (내부분열+나당연합군의 평양성 공격) |
||
진덕여왕 (647 - 654) - 품주 → 집사부+창부 (장관 : 중시) - 나당동맹(648) - 오언태평송 보냄 - 당 연호 사용 |
이번주 주말에 한국사능력시험 시험이 있는데
시험 접수한 분들은 모두 좋은 결과 있길 바라요!!! :)
ㅋㅋㅋ 바라요..ㅎㅎㅎ 국어공부한 티가 나죠?? ㅎㅎㅎㅎ
바래요(XXXX) 바라요(O)
한국사 능력시험 화팅!!!!
삼국시대 - 고구려, 백제 1~4세기 왕 정리
삼국시대 - 고구려, 백제 1~4세기 왕 정리 삼국시대는 한국사를 공부할 때 선사시대, 고조선 다음으로 공부한다. 수학에서 맨 첫 단원 집합에서 배운 내용은 쉽게 느껴지듯이 삼국시대도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
unomasuno.tistory.com
[조선] 근대 태동기의 사회 -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조선] 근대 태동기의 사회 -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오늘은 조선 후기 천주교의 전래와 천주교 박해를 정리했다. 조선 후기 문화사 부분은 공부해도 자꾸 잊어버리고 자주 틀리는 어려운 부분인데 천주교 박해도..
unomasuno.tistory.com
기미독립선언서 전문 + 공약3장 읽어보기. (3.1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미독립선언서 전문 + 공약3장 읽어보기. (3.1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미독립선언서 전문 + 공약3장 읽어보기. (3.1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안녕하세요~ 오늘은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지난 달 3월 1일은 3.1운동 100주..
unomasuno.tistory.com
'투_함께쓰는 이야기 > 한국사 공부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4. KBS1 역자저널 그날 - 관동대학살, 학살의 기억 편 리뷰 (20190421) (0) | 2019.06.20 |
---|---|
002. [조선] 근대 태동기의 사회 -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10) | 2019.04.26 |
001. 삼국시대 - 고구려, 백제 1~4세기 왕 정리 (2) | 2019.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