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 능력, 결론, 기꺼이 하기, 습관적인 사건들에 이어서 나머지를 포스팅한다. 지난 글은 요기 ↓↓
2020/04/08 - [투_함께 쓰는 이야기/외국어STUDY] - [영어공부] 복잡한 조동사 공부하기 (1) - 1
4. Necessity (필요), Deduction (추론): must, have (got) to → 뜻은 “~해야 한다”.
- 무엇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must 혹은 have to를 사용하지만, have to는 덜 격식 있는 표현이다. 의문문에서는 have to를 사용한다. e.g. People must / have to accept working at home in this situation. 이 상황에서 사람들은 집에서 일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 과거 시제와 미래 시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must를 사용하지 않고, had to, will have to를 사용한다. e.g. I had to clean my room last week. 나는 지난주에 내 방을 청소해야 했다. // We will have to find a job after leaving college. 우리는 대학 졸업 후 일을 해야 할 것이다.
- 개인적으로 필요하거나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must를 사용한다. e.g. I must do my homework. 나는 숙제를 해야 한다. // I must give you my email address.
- 규칙이나 공식적인 명령 등과 같은 외부에서 온 필요성에 관련하여 제시할 때는 have to를 사용한다. e.g. The government has to close their border line due to the virus pandemic. 바이러스 유행으로 정부는 국경을 닫아야 했다.
- 이미 일어난 일이나 사실인 것으로 결론을 내릴 때는 have to 보다는 must를 사용한다. e.g. The bridge must have been closed for an hour because of an accident. 그 다리는 사고 때문에 한시간 동안 통제되어야 했다. (다리가 닫혀서 사용할 수 없었다는 뜻)
- 어떤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can’t / couldn’t를 사용한다. e.g. It can’t be right, surely? (It mustn’t be right, surely? 안돼!) 그게 사실일리 없지, 확실하지?
- have to와 have got to는 같은 뜻이지만, have got to는 덜 격식 있는 표현이다. 빈도 부사와 다른 조동사와는 have to를 사용한다. e.g. We often have to line up for about 30 minutes to get in the famous bar. 우리는 그 유명한 바에 들어가기 전에 종종 30분을 기다린다. // The company will have to refund the defective products. 그 회사는 결함이 있는 제품들을 환불해주어야 할 것이다.
- have 를 줄여서 사용될 때 (예를 들어, I’ve), got을 사용해야 한다. e.g. I’ve got to go. (I’ve to go 안돼!) 나는 가야한다.
- 단순과거시제에서는 had got to 보다는 had to를 사용한다. e.g. My boss had to go to the headquarter. (내 상사는 본사에 가야 했다.)
5. Not necessary (필요 없는): Didn’t need to, didn’t have to, needn’t have → 뜻은 “~할 필요 없다”.
- 과거에 필요 없는 행동에 대해서는 didn’t need to/didn’t have to를 사용한다. e.g. He didn’t have to wait long for his friend. 그는 그의 친구를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었다.
- 과거에 이미 완료된 행동이지만, 그럴 필요가 없었을 경우에는 need not (needn’t have)를 사용한다. e.g. Actually, the exam was quite easy, so I needn’t have spent all night studying. 사실 시험이 꽤 쉬웠기 때문에, 나는 밤새 공부할 필요가 없었다. (밤새 공부했는데, 사실은 그럴 필요가 없었다.)
6. Obligation (의무) : Should, ought to → 뜻은 “~해야 한다”.
- 의무에 (책임감에 대한 좋은 생각을 이야기하면서 조언 혹은 권고를 할 때) 대해서 말할 때, should/ought to를 사용한다. e.g. I think you should/ ought to study harder if you want to go to university. 네가 대학에 가고 싶다면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다.
- 이미 계획을 했거나 그것이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should/ought to를 사용한다. e.g. Jane should/ought to be home by that time. 그 시간에 제인은 집에 있어야 한다. (그 시간에는 집에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
- 부정형에서는 shouldn’t를 (oughtn’t to 안돼!) 사용한다. e.g. This visa shouldn’t be a problem for you to stay in this country. 네가 이 나라에 살기 위해서 이 비자는 문제가 될 리가 없다.
공부를 해도 사실 너무 헷갈린다. 의미와 용법이 많이 헷갈린다. 여기에 관련된 문제들을 많이 풀어야... 아니 책을 많이 읽어야... 영어 늘 수 있겠지?
그리고 이 용법들만 있는게 아니다. 더 있다... 나중에 또 정리해야지..... (끝이 없네)
'투_함께쓰는 이야기 > 영어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공부] 복잡한 조동사표현 공부하기 (2) - 1 (0) | 2020.04.10 |
---|---|
[영어공부] 복잡한 조동사 공부하기 (1) - 1 (0) | 2020.04.08 |
[영어공부] 조동사 may와 헷갈리는 관용표현 (4) | 2019.03.28 |
[영어공부] give, get, make, do 숙어표현 (4) | 2019.03.25 |
[영어공부] 이번 주 공부한 영어단어 정리 (2019년 3월 셋째 주) (0) | 2019.03.24 |
[영어공부]#5. 4형식, 5형식 동사 정리, 예문 (1) | 2017.04.28 |
[영어공부]#4. 3형식 동사 정리 (1) | 2017.04.26 |
[영어공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0) | 2017.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