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가모순 1 40. 사자성어 공부 - 단표누항, 수주대토, 각주구검, 자가당착 국어 공부 40번 째 포스팅 입니다~~!! 짝짝짝!!! :) 오늘은 사자성어 단표누항, 수주대토, 각주구검, 자가당착을 정리했습니다. 簞瓢陋巷 도시락과 표주박과 누추한 거리.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의미 단표누항 소쿠리 단, 바가지 표, 더러울 누, 거리 항 단표누항은 의 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구나, 안회(顔回)여. 밥 한 그릇과 물 한 바가지를 먹고 마시면서 누추한 시골에 사는 근심을, 남들은 견뎌내지 못하는 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子曰: “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飲, 人不堪其憂, 回也, 不改其樂, 賢哉, 回也.]'"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에서도 공자가 제일 인정하는 제자였습니다. 공자는 안회의 가난하.. 2020. 9. 1. 이전 1 다음